봉곡사(鳳谷寺).

충남 아산 봉수산에 있는 천년 고찰.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통일신라시대 승려 도선이 창건했다고 합니다.

오래된 절집답게 찾아가는 길도 세월의 흔적을 느낄 만해  '천년의 숲 길'이라 한답니다.

만공 선사가 도를 깨우친 유서깊은 절이라는데, 

백문이불여일견(百聞而不如一見)이라 했으니, 

군소리하기보다 여러 사진을 덧붙입니다.

Posted by atom77
,

 

공산성.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에 있는 산성(山城). 백제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해 축조한 것으로, 당시의 중심 산성이었다. 사적 제12호이다.> (다음 한국어 사전)

 

가을의 말미이자, 겨울의 초입쯤 공주의 들머리에 있는 공산성에 올랐습니다.

흐드러진 산국이 인사하며 맞이하는 야트막한 산성 둘레길에서 여기저기 둘러본 전망이 제법 그럴듯합니다.

Posted by atom77
,

 

마곡사. 

충남 공주에 있는 신라시대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라는데, 어찌 된 인연인지 이제야 만났습니다.

생각하지 못한 강한 첫 인상에 두서없이 셔터를 눌렀습니다.

Posted by atom77
,

강물 속으론
또 강물이 흐르고
내 맘속엔 또 내가
서로 부딪치며 흘러가고
강가에는 안개가
안개가 또 가득 흘러가오.

춘삼월.

그 강에 갔습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조용히 묵직하게 흐르는 강 깊은 곳에서 노래가 들려왔습니다.

참 많이도 들었던 노래,

아마 40년 가까이 울렸을 정태춘의 '북한강에서'가 강물과 함께 그 강에 흐르고 있었습니다.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우수가 지난 지 오래이니, 한강의 얼음이 녹고 유장한 흐름을 되찾은 건 당연지사겠지요. 

 

Posted by atom77
,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 가치

풀 아래 우슴 짓는 샘물 가치

내 마음 고요히 고흔 봄 길 우에

오날 하로 하날을 우러르고 십다


새악시 볼에 떠오른 붓그럼 가치

의 가슴을 살프시 젖는 물결 가치

보드레한 에메랄드 얕게 흐르는

실비단 하날을 바라보고 십다

                                             (내 마음 고요히 고흔 봄 길 우에)

 

어느 해 

강진의 영랑 생가를 들렀습니다.

마침 초가를 빙 두른 토석담 볏짚 지붕 위에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 가치' 따사로운 겨울 볕이 살포시 내려앉는,

겨울 한낮의 한가로운 광경이 눈앞에 펼쳐졌습니다.

순간 긴 담장의 누런 흙이 '새악시 볼에 떠오른 붓그럼 가치' 붉게 물들었습니다. 

Posted by atom77
,

<선죽교>

 

<수표교>

 

얼마 전 늘 바라만 보던 남산, 차를 타고 지나치던 남산을 모처럼 걸어보자는 데 의견이 모아져 지인들과 함께 장충동을 출발하자마자 곧 옛 수표교를 처음 대하는 '발견의 기쁨'을 맛보았습니다. 그 덕분에 19년 전인 2004년 개성공단 착공식에 참석했다가 운 좋게 만났던 개성 선죽교가 떠올랐습니다. 고려와 조선의 역사 속 돌다리의 현재 모습을 비교해봅니다.             

선죽교

<개성에 있는 길이 8.35m, 너비 3.36m의, 화강석으로 축조된 돌다리. 고려  충신 정몽주가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하다. 다리 위 돌에 있는 붉은 반점이 정몽주의 피 얼룩이라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수표교

< 조선 세종 때에, 서울의 청계천에 놓은 길이 27.5 m, 너비 7.5m, 높이 4m의 돌다리. 1441년 처음에는 나무다리로 만들었는데,  후대에 보수하면서 돌다리로 축조했다. 1959년 청계천 복개 공사 때 현재의 장충단 공원 입구로 옮겨졌다. > 

 

Posted by atom77
,

"내가 1786928일 저녁, 독일 시간으로 5시에 브렌타 강에서 갯벌로 진입하면서 처음으로 베네치아의 마을을 바라보고, 계속하여 이 놀라운 섬의 도시, 비버 공화국에 발을 들여놓고 구경하게 된 것은 내 운명의 책 한 쪽에 쓰여 있던 바다. 그리하여 다행스럽게도 베네치아라는 도시는 이제 나에게 결코 하나의 단어, 공허한 이름이 아니게 되었다.

 

집들은 점점 더 빽빽하게 들어섰고, 모래땅과 늪은 암석으로 굳어졌다. 가옥들은 밀집한 수목과도 같이 점점 더 높이 솟아올랐다. 옆으로 퍼질 수가 없기 때문에 위로만 커졌던 것이다. 한 줌의 땅을 다투면서 처음부터 협소한 공간에다 억지로 집어넣었기 때문에, 도로의 폭은 겨우 양편의 집들을 구분하고 시민에게 꼭 필요한 통로를 확보하는 것 이상은 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수로가 가로(街路), 광장, 산책 길 등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뱀처럼 구부러진 큰 운하는 세계의 어떠한 가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고 세계의 어떠한 광장도 성 마르코 광장 앞에 펼쳐진 공간에 비견될 수 없다.

 

얼마 후 피곤해진 나는 좁은 골목을 떠나서 곤돌라를 탔다. 이번에는 지금까지와는 반대로 바다 쪽에서 경치를 바라보려고 대운하의 북쪽 부분을 빠져나와서 산타클라라 섬을 돌아 갯벌 안으로 배를 볼아 주데카 운하로 가서 성 마르코 광장이 있는 곳까지 갔다. 그러자 모든 베네치아 사람들의 곤돌라를 탔을 때 느끼는 것처럼 나도 아드리아 해(Mare Adratico)를 지배하는 사람이 된 것 같은 기분이 갑자기 들었다."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을 읽다가 10년 전 만났던 베네치아의 곤돌라가 불현듯 생각났습니다.

 

 

 

 

 

Posted by atom77
,

그 어느 해 11월 초순이던가,

저녁 시간 고도 경주 시내를 걷는데 때마침 보름달이 두둥실 떠오릅니다.  

아하, '신라의 달밤'이 이런 것일 수 있겠구나 싶어 핸드폰을 꺼내 들었습니다.

그리곤 잊었다가 엊그제 메모리 카드에서 우연히 다시 만났습니다.

Posted by atom77
,

백사실 계곡.

종로구 부암동과 세검정 사이에 있는 북악산의 한 골짜기.

계곡 중턱에 주춧돌이 남아 있는 빈터가 <백사(白沙) 이항복의 별장터였다는 설>을 토대로

그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집니다.

버들치, 가재, 도롱뇽 등 높은 산 깊은 계곡에서나 볼 수 있는 청정지역 지표 생물체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말에 오래전부터 방문하고 싶었습니다.

실제 가보니 서울 한 복판에서 산간마을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니 신기합니다.

오가는 길에 만난 배풍등 붉은 열매는 덤입니다. 

 

Posted by atom77
,

천리포 해수욕장에서부터 영목항까지.

꽃 찾아 안면도를 꽤 여러 차례 오고 갔으나

천리포 해수욕장의 '천연 풀장',

소나무 숲이 아름다운 갈음이 해수욕장,

썰물 때만 찾아갈 수 있는 안면암 부상탑, 

낚시꾼들의 성지 영목항, 신진항 등이 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태안의 속살을 조금이나마 들여다본 2022년 여름이었습니다.

Posted by atom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