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바다 지키는 등대 같은 꽃, 둥근바위솔!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2.11>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거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 중에서

[논객닷컴=김인철] 매서운 바람이 드디어 본격적인 겨울에 접어들었음을 실감케 합니다. 모든 것이 얼어붙는 때에 ‘꽃 타령이 웬 말이냐’고 하겠지만 야생화 동호인 사이트를 접속하면 의외로 많은 꽃 사진이 오르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털머위, 산국, 감국, 해국, 개망초, 개쑥부쟁이, 바위솔, 진주바위솔, 둥근바위솔, 들개미자리, 솔잎난, 미역취 등 늦둥이 가을꽃들과, 호자덩굴, 배풍등, 이나무, 겨우살이, 노박덩굴, 자금우 등의 열매, 그리고 이미 지상에선 사라진 봄여름 야생화들의 추억을 담은 사진 등등.

부산 동백섬 바위 절벽에서 하얀색 꽃송이를 탐스럽게 피워 올린 둥근바위솔. 해운대 해수욕장 바로 뒤에 건설 중인 초고층 빌딩들을 향해 ‘탐욕과 허영의 바벨탑을 쌓지 말라.’는 자연의 소리를 전하는 듯싶다. ⓒ김인철
ⓒ김인철

이런저런 많은 꽃 가운데 이번에 ‘12월의 야생화’로 꼽은 것은 바로 둥근바위솔. “상상력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지식이란 참으로 허망한 것이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숱하게 많은 꽃이 피고, 또 그들이 한결같이 예쁘고 화려하지만, 그 어떤 상상력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면 그저 화중지병(畵中之餠)처럼 허망한 꽃에 불과할 따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황량한 겨울 바다를 지키는 등대처럼 오뚝 선 둥근바위솔은 보는 이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초겨울의 대표 야생화로 꼽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짙푸른 동해를 품에 안을 듯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바위 위에 자리 잡은 둥근바위솔. 바다의 수호신인 양 고성에서부터 거제에 이르기까지 동·남 해안가에 폭넓게 자생한다. ⓒ김인철
ⓒ김인철

특히 부산 동백섬 해안가 아슬아슬한 바위 절벽에 핀 둥근바위솔에선 사상누각을 쌓으려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꾸짖는 자연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바로 뒤 해운대에 들어서고 있는 초고층 빌딩들에 주눅 들지 않겠다는 듯 고개를 곧추세운 일군의 둥근바위솔이 던지는 무언의 메시지를 상상해보았습니다. 그러자 탐욕과 허영, 사치로 빚은 장밋빛 개발의 덧없음을 일깨우는 둥근바위솔의 외침이 들려옵니다. 그뿐만 아니라 멀리 강원도 고성에서부터 시작해 경남 거제도에 이르기까지 동, 남해안 일대 바닷가 곳곳에서 크고 작은 선박은 물론 세상 사람들에게 길 잃고 헤매지 말고 정도(正道)를 가라며 길라잡이 하는 둥근바위솔의 분주한 손놀림이 눈에 들어옵니다.

‘철 지난 바닷가의 숨은 보석’ 같은 둥근바위솔의 꽃차례. 촛대에 꽂힌 초 모양의 꽃차례에 흰색의 꽃잎과 홍자색 꽃밥, 그리고 붉게 익어가는 골돌(씨방)로 이뤄진 꽃송이가 다닥다닥 달려 있다. 9월부터 12월까지 핀다. ⓒ김인철
ⓒ김인철

거센 파도가 넘실대는 척박한 바닷가에서 12월 초순까지도 기운찬 생명력을 과시하는 둥근바위솔. 바위 겉에 뾰족한 이파리를 동그랗게 돌려내며 자라는 모습이 솔방울을 닮았다고 해서 그 이름을 얻은 바위솔의 한 종류입니다. 정선바위솔·연화바위솔·포천바위솔·가지바위솔·진주바위솔·난쟁이바위솔·좀바위솔 등 국내에 자생하는 여타 바위솔에 비해 이파리 끝이 둔하고 둥글어서 둥근바위솔이란 별도의 국명으로 불립니다.

강원도 고성 백도 해변에 핀 둥근바위솔. 푸른 바다와 모래밭은 물론 뒤편으로 설악산 등 굵직한 산줄기가 또렷하게 눈에 들어온다. ⓒ김인철
ⓒ김인철

9월부터 12월까지 촛대에 꽂힌 초처럼 생긴 꽃차례(花序)에 흰색 꽃이 다닥다닥 달리는데, 수술의 꽃밥이 유사 종인 정선바위솔은 노란색, 연화바위솔은 담황색인 데 반해 둥근바위솔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으로 차이가 난다고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식물체의 전체 키는 10~30cm 정도, 그중 꽃차례가 5~20cm를 차지한다.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지만, 한해를 살았든 두 해를 살았든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곧 말라 죽기 때문에 실제로는 한해살이도, 두해살이도 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2.11>



 

Posted by atom77
,

빨강 노랑 단풍 속에 피는, 좀딱취!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1.13>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Ainsliaea apiculata Sch.Bip. 

“아따, 찬바람 불고 나뭇잎이 우수수 떨어져 스산하기 짝이 없을 산골짝에 뭔 꽃이 핀다고 길을 나섭니까?”

십여 일 전인 지난 11월 초. 전국의 산과 계곡이 울긋불긋 물드는 시기 단풍 못지않게 화사하게 차려입은 행락객들과 달리, 이리저리 뒹굴어도 괜찮을 성싶은 작업복을 입고 커다란 카메라 가방을 둘러메고 아파트 승강기에 들어서자 이웃 주민이 아는 체를 합니다. 일전 시도 때도 없이 커다란 배낭을 메고 길 나서는 모습을 궁금해하기에, “야생화 찾아다닌다”고 하자 그 후 만나면 으레 이런저런 꽃 이야기를 하게 됐습니다.

이웃사촌의 말처럼 ‘뭔 꽃이 피겠느냐.’는 의구심이 드는 만추(晩秋)의 계절에 새로운 꽃이 피는 곳은 서울 인근은 아닙니다. 적어도 서울에서 자동차를 타고 2시간 이상 남쪽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가장 가까운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서부터 전남 장성의 백양산과 영광의 불갑산 등 남부지역, 그리고 멀게는 제주도 같은 해안지역까지 남으로 남으로 찾아가야 합니다.

울긋불긋 물든 가을 숲에서 하얀 꽃을 피운 ‘작은 거인’ 좀딱취. 키도 몸집도 작고 왜소하지만 늦가을 숲의 주인인양 당당하다. ⓒ김인철
ⓒ김인철

이웃 주민의 걱정 섞인 관심 속에 찾은 안면도의 야트막한 숲. 오전 10시가 지났지만, 아직은 사방이 어두컴컴합니다. 저 멀리 동쪽 바다부터 비추기 시작한 아침 햇살이 서쪽 끝인 안면도의 숲속에 파고들기까지는 좀 더 긴 시간이 걸리는 모양입니다. 대개의 야생화가 그렇듯 좀딱취 또한 꽃이나 잎 등 몸집이 작기 때문에 찬찬히 살피지 않으면 선뜻 눈에 들어오는 게 아니어서, 발걸음을 조심하며 숲을 살핍니다. 한데, 바닥엔 한때 알록달록 물들었다가 지금은 빼빼 말라 떨어진 낙엽만 가득할 뿐….

처음 사위를 분별하지 못했던 눈이 점차 어둠에 익숙해지자 숲속의 작은 풀들과 열매, 그리고 꽃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키 큰 나무들에 매달린 많은 이파리에 가려졌던 햇살이 여기저기 바닥으로 파고들자, 좀딱취의 하얀 꽃송이가 어둠 속 보석처럼 반짝반짝 빛을 발합니다. 여기에 한 송이, 저기에 두 송이, 그리고 작은 골짜기 너머 이편저편 낮은 언덕에 제법 많은 개체의 좀딱취가 줄기마다 적게는 하나부터 많게는 대여섯 송이까지 꽃을 달고 섰습니다.

3개의 작은 꽃이 모여 하나처럼 보이는 좀딱취 꽃. 여러 개의 꽃이 모여 하나의 머리를 이루는 두상화(頭狀花)의 전형이다. 어떤 꽃에서는 연분홍 수술이, 또 다른 꽃에서는 머리가 둘로 갈라지는 흰색의 암술이 뾰족 튀어나온다. ⓒ김인철
ⓒ김인철

겨울에도 녹색 잎을 유지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인 좀딱취는 10월에서 11월까지 꽃을 피우지만, 추위에 약해 안면도 이남 따듯한 남부지방에서만 자생합니다. 키가 작게는 8cm에서 크면 30cm까지도 자라 아주 작은 편은 아니지만, 꽃과 줄기 등 전체 식물체의 크기가 왜소해 작다는 뜻의 ‘좀’ 자가 이름에 쓰인 듯합니다. ‘취’ 자가 든 것은 곰취, 참취 등과 마찬가지로 어린잎을 식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되는데, ‘딱’ 자가 쓰인 이유는 잎이 딱지를 닮아서라는 주장이 있기는 하지만 분명치 않습니다.

2014년 가을 중국 황산에서 만난 좀딱취. 해발 1,864m인 황산의 ‘가을 야생화’라 일컬을 만큼 개체 수가 많았다. 위도가 북위 30도로 제주도보다 3도나 낮지만 고도가 높아 좀딱취가 자생하는 제주도와 식생이 흡사한 것으로 추정됐다. ⓒ김인철
ⓒ김인철

영어 이름은 ‘작은’ 단풍취라는 뜻의 ‘Small maple-leaf ainsliaea’인데, 단풍취·가야단풍취와 함께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취속(屬) 3종의 하나가 바로 좀딱취라는 점에서 적절해 보입니다. 실제 흰색으로 피는 꽃 모양이 단풍취와 많이 닮았습니다. 다만 꽃 피는 시기가 단풍취는 여름이고, 전초나 꽃의 크기도 키다리와 난쟁이만큼 차이가 납니다. 그러나 ‘딱’ 자가 든 이유도, ‘딱취’란 식물도 존재를 알 수 없으니, 오히려 ‘좀단풍취’라고 부르는 게 낫지 않겠냐는 생각이 듭니다.

원 줄기 밑에 딱지 형태로 빙 둘러 난 잎과 높이 30cm까지 곧게 뻗은 꽃대, 그리고 하나에서 최대 10여 개까지 흰색의 꽃이 달리는 좀딱취가 늦가을 늘씬하고 단정한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김인철
ⓒ김인철

초가을부터 핀 개쑥부쟁이나 산국·감국 등 이른바 들국화가 늦게는 눈 내리는 초겨울까지 뒷동산을 지키겠지만, 제주도를 제외한 내륙에서 10월 이후 새로 피는 야생화는 바위솔 속(屬) 식물과 좀딱취 둘뿐(有二)일 것입니다. 그런 좀딱취가 야생화 동호인에게는 각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른 봄 꽁꽁 언 땅에서 콩나물 줄기처럼 가냘픈 꽃대를 밀어 올려 손톱만큼 작은 꽃을 피우는 너도바람꽃이나 눈 속에 피는 복수초로부터 시작한 꽃 탐사의 대미(大尾)를 장식하는 게 바로 좀딱취이기 때문입니다.

인간 세상의 작고 못난 좀팽이들과 달리, 울긋불긋한 단풍을 뒷배 삼아 의연하고 당찬 모습으로 순백의 꽃을 피우는 좀딱취를 보며, ‘시작은 미미했지만 끝은 창대했다.’고 자족하며 ‘한해 꽃 농사’를 마감하는 것이지요.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1.13>

Posted by atom77
,

세상을 유혹하는 ‘립스틱 선녀’, 물매화!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0.18>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Parnassia palustris L.

[논객닷컴=김인철] 봄이면 봄꽃이 피고 여름이면 여름꽃이 피어 사시사철 철 따라 제철 꽃이 피건만, 유독 가을이면 대개의 ‘꽃쟁이’들이 마음을 설레며 쫓아다니는 각별한 꽃이 있습니다. 봄에 피는 기생꽃보다도 더 ‘기생답다’고 여긴다고나 할까요. 분 바르고 연지 곤지 찍고 한껏 멋을 낸 새색시 못지않게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당기는 꽃, 바로 물매화입니다.

물매화 중에서도 특히 5개의 수술 끝에 달린 꽃밥이 립스틱을 칠한 것처럼 붉게 빛나는 것이 있는데, 이게 물매화가 피는 7월부터 10월 사이 야생화 동호인들에게서 유별난 사랑을 받는 이른바 ‘립스틱 물매화’, 또는 ‘연지 물매화’라는 꽃입니다. 물론 일반적인 물매화의 꽃밥 색은 연한 미색입니다.

수술의 꽃밥이 진한 붉은색으로 빛나는, 이른바 ‘립스틱 물매화’가 이른 가을 세상 모든 이를 사로잡을 듯 강한 유혹의 손짓을 보내고 있다. ⓒ김인철
ⓒ김인철

꽃잎이 흰색이고 5장으로 매화를 닮았는데, 물가에서 핀다고 해서 그 이름이 얻은 물매화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옛날 하늘의 최고신인 옥황상제의 정원을 지키는 선녀가 있었는데, 어느 날 황소가 나타나 정원을 망가뜨리는 걸 막지 못해 옥황상제의 진노를 샀다. 쫓겨난 선녀는 이 별 저 별 떠돌다 발을 헛디뎌 인간 세계로 떨어져 물매화로 다시 태어났다.

강원도 높은 산 맑은 물이 흐르는 깊은 계곡 가에 물매화가 피어있다. 물을 좋아하는 물매화의 자생지 특성을 잘 보여준다. ⓒ김인철
ⓒ김인철

‘립스틱 물매화’로 다시 태어난 선녀가 옥황상제의 용서를 받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옥황상제에 대한 선녀의 일편단심은 변치 않았는지 실제 물매화의 모습은 꽃대가 하나, 이파리도 하나, 꽃잎도 하나입니다. 그 꽃잎은 하늘을 그리는 애절한 마음을 담은 듯 늘 하늘을 향하고 있고요. 그 모습에서 40년 전 대학가요제에서 불렸던 “내 맘은 하나요/ 내 뜻도 하나요/ 어젯밤에 꿈도 하나요/ 친구도 하나요/ 사랑도 하나요/ 그렇지만 외롭지 않아~”(임백천과 고영선의 한마음)라는 노랫말이 생각납니다. 이런 연유 때문인지 물매화의 꽃말도 ‘고결’, ‘결백’, ‘정조’라고 합니다.

환상적인 뒤태를 자랑하는 물매화. 봄철 최고의 ‘뒤태 미인’으로 꼽히는 기생꽃을 능가하는 미모를 뽐낸다. ⓒ김인철
ⓒ김인철

물매화의 크기는 꽃대 높이가 7~45cm, 둥근 부채 모양의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1~3.5cm, 백색의 꽃은 2~2.5cm로, 가냘픈 풀꽃의 전형적인 형태입니다. 꽃은 4개로 갈라지는 암술과 5개의 수술 외에, 벌이나 곤충을 유혹하기 위한 5개의 헛수술을 갖춘 게 특징입니다. 헛수술은 끝이 각각 12~22개로 실처럼 갈라지는데, 각각 황록색의 꿀샘(腺)이 있어 햇살을 받으면 왕관의 장식처럼 반짝반짝 빛이 납니다.

청정한 물이 흐르는 계곡 한가운데 핀 물매화는 그 자체로 천연의 ‘수반(水盤) 꽃꽂이’ 작품이 된다. ⓒ김인철
ⓒ김인철

학명 중 종소명 파루스트리스(Palustris)는 ‘늪지대를 좋아하는, 늪지생의’라는 뜻인데, 물가나 습지 등 물기가 많은 곳에 서식하는 물매화의 특성을 잘 설명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실제 물가뿐 아니라 메마른 산정에서도 피고, 심지어 제주도의 경우 오름 꼭대기 억새밭 사이에서도 잘 자랍니다. 이처럼 자생지가 제주도에서 강원도 북부까지로 그야말로 전국적이고, 꽃 피는 시기도 이른 곳은 한여름인 7월부터 늦게는 단풍 물드는 10월까지 꽤나 긴 편입니다. 물론 강원도에 ‘립스틱 물매화’가 많고 또 늦가을까지 싱싱한 꽃을 볼 수 있는 자생지가 여럿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10.18>

Posted by atom77
,

천태만상(千態萬象)의 꽃, 애기앉은부채!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9.17>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논객닷컴=김인철] 다행히 약해지고 진로도 바뀐 태풍의 여파로 한바탕 비가 내리면서 폭염이 한결 누그러지기 시작하던 9월 초 숲에 들었습니다. 유례없는 더위로 인해 깡말랐던 꽃밭이 얼마나 생기를 되찾았는지 확인하고 싶었지요.

그런데 야생화의 생명력은 역시 기대 이상입니다. 올여름엔 제대로 된 꽃을 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들었던 애기앉은부채가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 여기서 저기서 올라와 찾는 이를 반갑게 맞아줍니다. 순간 동행한 이의 표정을 살핍니다. 아주 귀하고 멋진 꽃을 보여주겠다며 손목을 잡아끌었으니, 그의 반응이 내심 궁금했습니다.

도깨비방망이 모양의 꽃차례와 타원형 불염포 등 독특한 생김새가 보면 볼수록 매력적인 애기앉은부채가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시기에 깊은 숲에서 환하게 빛나고 있다. ⓒ김인철
ⓒ김인철

“아니, 이게 무슨 꽃이야? 많은 야생화가 왜소하다고 하니, 바닥에 붙을 듯 키가 작은 것은 이해하겠는데, 어떤 게 꽃잎이고 이파리는 또 어디에 있니?” 어처구니가 없다는 듯 질문을 쏟아냅니다.

그리곤 ‘봄에 나오기 시작한 잎이 7월이 되면 다 녹아 없어지는데, 그 뒤에야 어른 손가락 2개 정도 크기의 꽃이 올라와 9월 하순까지 피며, 그 이름을 애기앉은부채라고 한다’는 설명에 고개를 끄덕거립니다. 그리곤 “아, 맞다. 둥근 광배(光背)까지 갖춘 게, 유명한 경주 남산의 감실부처를 닮은 것도 같고, 암튼 절에서 보는 불상의 머리 형태와 매우 흡사하다.”며 맞장구를 칩니다. 일순 ‘애기앉은부채’를 ‘애기앉은부처’로 잘못 알아들은 데서 나온 반응임을 깨닫습니다.

거북의 등처럼 갈라진 조각조각마다 4장의 꽃잎과 4개의 수술, 1개의 암술을 갖추고 있는 육수꽃차례와, 화사한 홍색의 불염포가 돋보이는 애기앉은부채. ⓒ김인철
ⓒ김인철

누군가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고 했지만, 자연계에선 그야말로 ‘세상은 넓고 야생화는 다양하다’고 말할 만합니다. 그 천차만별의 꽃 중 하나가 바로 애기앉은부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처의 후광(後光)을 닮아 불염포(佛焰苞)라 불리는 짙은 자갈색 꽃 덮개가 땅 위에 타원형을 그리며 자리를 잡고, 그 정중앙에 혹자는 도깨비방망이를, 혹자는 수류탄을 닮았다고 말하는 육수(肉穗)꽃차례가 가부좌를 틀고 있으니 누가 봐도 앉은부처의 모습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꽃차례와 불염포를 포함한 전체 꽃 크기가 5cm 안팎에 불과한 애기앉은부채가 이웃한 동무와 어깨를 나란히 한 채 세상사 아무런 걱정이 없다는 듯 환히 웃고 있다. ⓒ김인철
ⓒ김인철

그런데 애기앉은부채란 이름에서 짐작하듯 접두어 ‘애기’를 뗀 앉은부채라는 야생화가 따로 있습니다. 다만 형태는 비슷하지만, 꽃이 피는 시기 등 생태는 크게 다릅니다. 애기앉은부채는 개화 시기가 7~9월 여름이지만, 앉은부채는 2~3월 초봄이어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야생화로 손꼽을 정도입니다. 또 앉은부채는 애기앉은부채와는 반대로, 꽃이 핀 뒤 잎이 무성하게 납니다. 그러나 크기만 다를 뿐 많은 이들이 처음 보는 순간 앉은부처를 연상할 만큼 꽃 모양이 독특한데, 일본에서도 좌선하는 부처의 모습이라는 뜻에서 ‘좌선풀(座禪草)’이라고 부른다니, 본래의 이름이 ‘앉은부처’이었을 것이라고 일각에선 주장합니다. 영어로는 앉은부채는 스컹크 캐비지(Skunk Cabbage), 애기앉은부채는 이스트 아시안 스컹크 캐비지(East Asian Skunk Cabbage)인데, 이는 잎이 배추처럼 무성하고 넓다는 특징을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부채처럼 잎이 넓어서 처음부터 ‘앉은부채’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큰 나무 밑동에, 그리고 커다란 바위틈에 각각 가부좌를 틀고 명상에 든 듯 꽃을 피운 애기앉은부채. ⓒ김인철
ⓒ김인철

꽃의 생김새만 독특한 게 아닙니다. 특히 불염포로 불리는 타원형 이파리가 대개는 짙은 자갈색이지만, 경우에 따라 녹색에서부터 미색, 또는 짙은 홍색, 선홍색, 심지어 연분홍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 그야말로 색색의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그리고 불염포 중앙에 자리 잡은 도깨비방망이가 육수꽃차례란 꽃 덩어리인데, 거북의 등처럼 갈라진 조각조각이 4장의 꽃잎과 4개의 수술, 1개의 암술을 갖춘 각각의 꽃입니다. 영어 이름 중 ‘스컹크’에서 알 수 있듯 꽃에서 고기 썩는 듯, 그리 유쾌하지 않은 냄새가 나는데 그 냄새로 곤충이나 육식성 동물들을 불러 모아 꽃가루받이에 활용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수정된 개개의 꽃들이 달린 육수꽃차례는 통째로 땅에 묻혀 어린아이 주먹만 하게 커지면서 이듬해 꽃이 필 때까지 열매를 숙성시키게 됩니다.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고만 돼 있는데, 설악산과 대관령, 점봉산, 오대산, 태백산 등 강원지역뿐 아니라 최근 울산, 경남, 전북 등 중부 이남의 숲에서도 자생지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설악산 꼭대기에서는 이른 봄 곰이 눈을 헤치고 어린잎을 먹는다고 해서 곰치라고도 불립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9.17>

Posted by atom77
,

백두산의 우리 꽃2

 쌍잎난초, 유령란, 대송이풀, 큰송이풀… 백두평원은 우리 꽃의 화수분!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8.17>

‘거부할 수 없는 유혹’과 ‘해소할 수 없는 갈증’

[논객닷컴=김인철] 백두산은 늘 새롭습니다. 늘 새로운 꽃으로 탐방객을 기쁘게 합니다. 9월이면 눈이 내리고 그 눈이 이듬해 5월까지 녹지 않아, 5월 말에야 뒤늦게 봄이 시작되고 8월이면 이미 가을이 무르익는 곳. 해서 6월부터 8월 사이 수백 종의 북방계 고산식물이 한꺼번에 꽃을 피우며, 보통 보름에서 한 달 간격으로 늘 새로운 꽃을 피워 식물 탐사에 나선 이들에게 커다란 기쁨을 선사합니다.

백두산 해발 1400m 지점에 펼쳐진 왕지(王池) 초원. 참취와 민박쥐나물, 큰엉겅퀴 등 가을꽃들이 만개해 ‘야생화 초원’이란 말이 실감 난다. ⓒ김인철
ⓒ김인철

2017년 7월 5일부터 일주일간 탐사 후 돌아와 ‘백두산의 우리 꽃’을 게재한 지 딱 13개월 만인 2018년 8월 4일부터 5박 6일간 백두산과 그 일대를 찾았는데, 역시 지난해와는 전혀 다른 야생화들이 탐방객을 반깁니다. 특히 천지를 굽어보는 2750m 정상 능선을 비롯한 고산 백두평원에는 두메양귀비와 구름송이풀, 노랑만병초와 담자리꽃나무, 담자리참꽃, 들쭉나무, 월귤, 홍월귤, 가솔송 등 노랗고 붉게 피었던 봄꽃들은 어느덧 스러져 검붉은 열매만 익어가고, 대신 바위구절초와 큰송이풀, 산용담, 비로용담, 염주황기, 각시투구꽃 등 가을 야생화들이 빈자리를 차지하며 산중은 이미 짙은 가을빛으로 물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백두산 일대 숲속에 피어난 쌍잎난초. 학명은 Listera pinetorum Lindl. 마주 난 잎 사이에 올라온 12~20cm의 줄기에 연한 녹갈색 꽃이 여럿 달렸다. ⓒ김인철

국가 공인 식물도감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에 ‘우리나라 북부에 분포한다’고 소개된 산용담은 이번에 처음 만났는데, 해발 1700~2500m 고산초원에서 10~25cm 크기로 자란다는 설명대로 정상 바로 밑 드넓은 평원에 잔디처럼 깔려 흰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유령처럼 나타났다가 유령처럼 사라진다는 유령란. 학명은 Epipogium aphyllum Sw. 잎도 없이 돋아난 7~20cm의 줄기에 연한 갈색 꽃이 2~8개 달린다. ⓒ김인철
ⓒ김인철

백두산과 그 일대 삼림에서는 운 좋으면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난초들도 만날 수 있습니다. 난초가 따듯한 지역에서 주로 자생할 것이라는 상식과 달리, 추위를 좋아하는 북방계 난과 식물이 따로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만난 유령란과 쌍잎난초도 그런 종류입니다. 유령란은 국생종에 ‘부전고원에서부터 백두산 지역까지 북부지역 침엽수림 밑에서 자란다’고 나와 있고, 쌍잎난초는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고 했습니다. 이 두 가지 난초를 만난 것은, ‘한반도에 자생한다’고 전해오는 ‘도감 속 우리 꽃’의 실체를 확인해보겠다는 백두산 식물 탐사의 본래 취지를 완벽하게 달성한 최고의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방풍.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 갯방풍, 갯기름나물 등 산형과의 다른 유사 종과 달리 북부지역에서만 자란다고 한다. ⓒ김인철
ⓒ김인철

유령란은 유령처럼 나타났다가 유령처럼 사라지기 때문에 그 독특한 이름을 얻었다고 하는데, 정말 손가락 크기의 노란 꽃대가 아무런 이파리도 없이 파란 이끼 위에 불쑥 돋아나 있고 거기에 연한 갈색 꽃이 이삭 형태로 여럿 달려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한두 송이 보이더니, 찬찬히 살펴보자 대여섯 송이가 뭉쳐서 피어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쌍잎난초는 콩팥 모양의 다소 넓은 한 쌍의 이파리가 마주 달린 모습이 춤추는 발레리나를 연상케 하며, 울창한 숲속 이끼 위에 연한 녹갈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역시 하나의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달렸는데, 꽃마다 깊게 2갈래로 갈라지는 입술모양꽃부리를 밑으로 내뻗고 있는 게 특징입니다.

이번에 처음 만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실쑥. 학명은 Filifolium sibiricum (L.) Kitam. 솔잎쑥이라는 다른 이름이 딱 어울릴 만큼 가느다란 잎이 특징이다. ⓒ김인철
ⓒ김인철

국생종에 모두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고 소개된 큰송이풀과 대송이풀, ‘북부지방에 다소 생산되나 중·남부지방에서는 별로 볼 수 없다.’는 방풍, ‘서흥(황해도), 회령(함경도) 및 경성(〃) 근처에서 자란다’는 실쑥도 이번에 처음 만난 ‘도감 속 우리 꽃’입니다.

남한에서는 모두 만날 수 없는 북방계 습지식물 큰송이풀과 대송이풀. 학명은 각각 Pedicularis grandiflora Fisch., Pedicularis sceptrumcarolinum L. 큰송이풀은 붉은색, 대송이풀은 흰색 꽃을 피운다. ⓒ김인철
ⓒ김인철

이처럼 갈 때마다 새로운 꽃을 처음 만나기에 백두산 탐사는 결코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지만, 모든 게 꿀맛처럼 달콤하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1947m 한라산을 가장 높은 산으로 안고 사는 우리로선 경험하지 못한 변화무쌍한 기후가 가장 큰 변수입니다. 해발 2000m를 훌쩍 뛰어넘는 2750m의 백두산은 6월에서 8월 사이 하루에도 몇 번씩 폭우와 비바람, 심지어 눈보라까지 쳐서 툭하면 입산이 금지되는 등 접근을 불허합니다.

백두산 정상 바로 아래 고산초원지대에 핀 산용담. 학명은 Gentiana algida Pall. 국내서 만나는 다른 용담류와 달리 흰색 꽃이 핀다. ⓒ김인철
ⓒ김인철

어렵사리 산에 들어 정상을 밟는다고 해도 안개가 좀처럼 가시지 않아 천지의 푸른 물을 아예 보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게다가 지정된 통로 외에는 한 발짝도 들여놓지 못하게 하는 엄격한 통제는 혀를 내두를 정도입니다. 탐사 기간 내내 계속되는 이런 불확실성과 해소할 수 없는 갈증은 우리의 백두산을, 우리 땅을 밟고 오를 날이 한시바삐 오기를 바라는 간절한 염원으로 이어집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8.17>

Posted by atom77
,

자생란(自生蘭)의 놀라운 생명력을 보여주는, 병아리난초!

가뭄과 태풍, 폭염도 아랑곳 않고 홍자색 꽃 가득 피워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7.16>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Amitostigma gracile (Blume) Schltr.

[논객닷컴=김인철] 산과 들에서 피는 그 어느 꽃 한 송이 그렇지 아니한 것이 없겠지만, 척박한 환경에서 저절로 피는 자생난초를 보면 더더욱 그 힘찬 생명력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산과 계곡의 바위나 풀숲, 바닷가의 아슬아슬한 절벽, 이런 척박한 환경도 모자라 장대같이 키 큰 고목의 줄기나 가지 겉에 겨우겨우 뿌리를 내리고, 희거나 붉거나 노란, 때론 연초록이거나 검은, 그야말로 형형색색의 진기하고도 청초한 꽃들을 피워내는 걸 보면 절로 탄성이 터져 나오곤 합니다. 미끈하게 구워진 도자기에 담긴 원예종 난초만을 봐온 도시인들에겐 더욱더 그러합니다.

자생난초란 화단이나 화분 등에서 일부러 심거나 가꾼 게 아니라 자연에서 절로 자라난 난초를 말하는데, 우리 국토가 자생난초의 천국이라는 사실을 아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전국 각지의 숲속 땅은 물론 바위나 나무 등지에 뿌리를 내리고 계절에 따라 꽃을 피우는 자생난초가 무려 100종이 넘습니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핀다고 해서 지생난(地生蘭)이라 구분하는 춘란과 한란, 은대난초, 은난초, 새우난초, 금난초 등이 주를 이루지만, 풍란과 석곡, 지네발란 등처럼 나무나 돌에 착근해 아슬아슬하게 삶을 이어가는 착생난(着生蘭)도 적지 않습니다.

지난 7월 4일 서울 인근 서해의 작은 섬 바닷가 바위 위 절묘한 곳에 병아리난초가 활짝 피어 있다. 태풍 ‘뿌라삐룬’이 지나간 직후여서 평상시 황토색이던 바닷물은 물론 하늘까지 파랗다. ©김인철
©김인철

본격적인 여름을 앞두고 가뭄이 극에 달하는가 싶더니 갑자기 태풍이 불고, 장맛비가 며칠씩 쏟아지고, 또는 때 이른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등 기후 변화가 요동을 치는 6~7월 우리 땅에서 자라는 100종이 넘는 자생난초 중 하나가, 변덕스러운 세상사는 내 알 바 아니라는 듯 초연한 모습으로 깜찍하고 앙증맞은 꽃을 피웁니다.

치마난초란 이름으로도 불리는 귀하디귀한 광릉요강꽃이나 복주머니란처럼 아주 제한된 자생지에서 드물게 피는 것이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꽃을 피웁니다. 높은 산 깊은 숲에 몰래 숨어 피는가 하면, 바닷가 솔숲 모래밭은 물론 바닷물이 드나드는 바위 겉에서 나 보란 듯이 고개를 들고 있기도 하고, 심지어 많은 이들이 손쉽게 오르는 관악산이나 북한산 등 수도 서울의 친숙한 산의 바위에도 손바닥만 한 이끼만 있으면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웁니다.

태풍이 불고 장맛비가 내리는 악천후가 지나간 뒤인 지난 7월 7일 경남 김해의 불모산 중턱에 수백 촉의 병아리난초가 피어나 야생난초의 강인한 생명력을 웅변했다. 한두 촉에서, 많으면 수십 촉이 피는 게 고작인 다른 자생지와 달리 수백 촉이 군락을 이뤄 장관을 연출했다. ©김인철
©김인철

다시 말해 원예종 난초처럼 바람 불면 날아갈세라, 비 오면 뿌리가 썩을세라, 가뭄 들면 말라 죽을세라 애지중지하지 않아도 해마다 꽃을 피우는 강인한 생명력이, 이번에 소개하는 야생난초가 가진 최고의 특징입니다. 또한 다른 이름난 자생난초에 비해 너무 귀하지 않고 너무 먼 데 서식하지 않아서 일부러 멀리 찾아가지 않더라도 조금만 관심과 애정을 쏟으면 만날 수 있다는 접근의 용이성이 또 다른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꽃 색이 온통 흰색인 병아리난초. 대개는 옅은 홍자색이지만, 드물게 흰 꽃을 피우는 개체가 있다. 단 한 촉이지만, 백마 탄 왕자의 기품이 난다. ©김인철
©김인철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에 분포하며 반 그늘진 계곡의 바위나 자갈밭 등에 생육한다.’고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에 소개된 병아리난초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너비 1~2cm, 깊이 3~8cm의 타원형 잎이 한 장 땅바닥에 깔리고, 그 위로 8~20cm 정도 높이로 꽃대가 올라와 작게는 서너 개에서 많게는 20개가 넘는 꽃송이가 한쪽으로 치우쳐 층층이 달리는데, 꽃은 밑에서 위로 올라가며 핍니다.

이파리 하나에 8~20cm가량의 꽃대를 올려, 많게는 20개가 넘는 꽃을 촘촘히 달고 선 병아리난초. 척박한 바위 위 이끼에 뿌리를 내리고 자생한다. ©김인철
©김인철

1~4cm 크기의 자잘한 꽃을 촘촘히 달고 바위 위에 오뚝 선 모습을 보면, 특히 수십 수백 송이가 무리를 지어 피어 있는 광경을 보면 누구나 ‘병아리난초’란 이름에 선뜻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 학자들이 새로 작명한 것이라기보다는, 일본 이름인 ‘ヒナ(병아리)ラン(蘭)’을 그대로 번역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꽃 색은 옅은 홍자색인데, 간혹 흰색으로 피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같은 병아리난초속 식물로 구름병아리난초와,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도 고산지대에 희귀하게 자생하고 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7.16>

Posted by atom77
,

수직 절벽에 붙어 승천(昇天)하는, 벌깨풀

석회암에서 보랏빛으로 피는 ‘바위용(龍)머리’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6.12>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Dracocephalum rupestre Hance

[논객닷컴=김인철] 국립수목원이 발표한 국가표준식물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의 수는 모두 4129종. 이중 대다수는 동네 뒷산이나 들, 저수지나 강, 평상시 오고 가는 길의 가장자리 등 우리가 사는 곳 가까이에 있지만, 일부는 높은 산이나 깊은 계곡, 섬이나 강, 바닷가 등 특정한 곳에서만 서식합니다. 이 중 동물 뼈나 조개껍데기 등이 쌓여 만들어진 강원도 석회암 지대는 오랜 세월에 걸친 단층운동과 풍화·침식작용으로 형성된 석회동굴 및 기암절벽 등 천혜의 비경을 품고 있을 뿐 아니라, 박쥐나 육서 무척추동물, 특산식물인 동강할미꽃 등 특정 동식물의 피난처, 나아가 최후의 서식처라는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산칼슘이 풍부한 석회암지대에 잘 적응해 사는 식물들을 호석회 식물(calcicole plants)이라 부르는데, 회양목을 비롯해 꼭지연잎꿩의다리와 아마풀, 개아마, 참골담초, 정선황기, 복사앵도, 시베리아살구나무, 외대으아리, 삼수개미자리, 산서어나무, 왕느릅나무, 나도국수나무, 비슬나무 등의 호석회 식물이 숨겨진 보물처럼 강원도 석회암지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구자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석회암 바위 절벽에 붙어 길이 20~30cm까지 자라서 6월부터 8월 사이 보랏빛 꽃을 층층이 피우는 벌깨풀. 심장형 이파리와 줄기에 흰 털이 촘촘히 나 있다. ©김인철
©김인철

하루가 다르게 기온이 오르며 여름을 향해 치닫는 6월 초·중순, 키 작은 풀꽃이 자취를 감추면서 산과 들의 식물들이 잠시 꽃 피기를 멈춘 채 휴지기에 접어드는 듯싶을 때 강원도 석회암지대의 높고 험준한 산에는 특별한 꽃이 피기 시작합니다. 호석회 식물의 하나인 들깨풀이 그 주인공입니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절벽 한가운데에 뿌리 내린 벌깨풀. 남한에서는 자생지가 몇 안 되는 희귀 북방계 식물로서, 자신의 생존을 위해 최선의 보호책을 마련한 듯싶어 안쓰럽지만, 살풍경한 절벽에 최고의 멋을 더한 듯해 고맙기 짝이 없다. ©김인철
©김인철

수직으로 치솟은 덕항산의 석회암 수직 절벽에 아슬아슬하게 달라붙어 보랏빛 꽃 여러 개를, 마치 손가락 펴듯 하늘을 향해 내뻗고 있습니다. 학명 중 속명은 그리스어로 dracon(용)과 cephale(머리)의 합성어인데, 서양 사람들의 눈에는 꽃이 마치 상상 속 동물인 용의 머리처럼 보였나 봅니다. 종소명 rupestre는 ‘바위에 자생하는’이란 뜻을 가진 단어로,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 벌깨풀의 특성을 아주 잘 반영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우리는 오히려 꽃이나 잎 등 전초가 전국의 산과 숲에서 흔히 만나는 벌깨덩굴과 비슷하다고 보고 벌깨풀이란 국명을 붙였는데, 길이는 2.8cm 정도로 입 벌린 뱀 같은 모양의 꽃이 같은 꿀풀과 용머리속 식물인 용머리의 꽃과도 닮았다고 해서 ‘바위용(龍)머리’란 별칭도 함께 얻었습니다.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6월의 연녹색 숲 한가운데서 벌깨풀의 보랏빛 꽃을 바라보면 누구나 자연의 황홀경에 빠져들게 마련이다. ©김인철
©김인철

벌깨풀은 호석회 식물이자 희귀 북방계 식물의 하나이기도 한데, 이는 곧 현재 확인되고 있는 몇몇 자생지가 곧 북방계 식물인 벌깨풀의 남방 한계 지역으로, 벌깨풀이라는 식물자원을 지키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훼손되지 않도록 절대적으로 보호해야 할 서식처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에 따르면 벌깨풀은 중국에도 분포하며, 남한에서는 삼척과 정선, 부안 등 석회암지대 100여 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제 현장에서 벌깨풀을 사진에 담아온 야생화 동호인들에 따르면 삼척의 덕항산, 강릉과 정선 경계에 있는 석병산 등 2곳에서 6월과 8월 사이 꽃 핀 것을 보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며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영국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순수의 전조’에서)

벌깨풀과 벌깨덩굴의 닮은꼴 꽃. 꽃이나 잎이 비슷하게 생겼으나, 벌깨덩굴은 덩굴식물로 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김인철
©김인철

지난 7일 오로지 수직으로 올라가거나 수직으로 내려가는 길밖에 없을 성싶은 등산로를 오른 뒤, 천 길 낭떠러지 중간에 발 딛고 서서 쏟아지는 아침 햇살을 온몸으로 받은 채 보랏빛 꽃을 삐쭉삐쭉 내민 벌깨풀을 올려다보며 떠올린 한 구절이었습니다. 솜털 가득한 연둣빛 심장형 이파리를 날개 삼아 하늘로 오르려는 작은 용(龍), 아니 무수한 미꾸라지를 보며 “사람의 손을 피해 이리도 높이 올라왔구나, 더 이상 승천하지 말고 이곳에 영구히 뿌리내려라.”라고 빌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6.12>

 

Posted by atom77
,

종 울리는 오월화, 은방울꽃!

은은한 향 종소리에 담겨 번지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5.15>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Convallaria keiskei Miq.

혼자서 산길을 헤매다가 나도 모르게 음습한 골짜기로 들어가게 되었다. 서늘하면서도 달콤한, 진하면서도 고상한, 환각이 아닌가 싶게 비현실적인 향기에 이끌려서였다. 그늘진 평평한 골짜기에 그림으로만 본 은방울꽃이 쫙 깔려 있었다.

5월의 숲은 ‘계절의 여왕’이란 말답게 더없이 싱그럽습니다. 이따금 봄비까지 내렸기 때문인지 신록은 더욱 푸르고, 온갖 야생화는 제철을 잊지 않고 풍성하게 피어납니다. 지난 13일 강원도 철원의 야트막한 산에 오르자 끝물의 연분홍 철쭉꽃과, 순백의 매화말발도리꽃과 고추나무꽃이 번갈아 나타나, 가는 봄을 후회 없이 즐기라고 인사를 합니다. 하루가 다르게 울울해진 풀밭에선 벌깨덩굴과 는쟁이냉이, 미나리냉이, 나도냉이, 산괴불주머니, 알록제비꽃, 둥굴레, 각시붓꽃 등 키 작은 풀들이 희거나 노랗거나 붉은, 색색의 꽃을 피우며 절정의 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즈음은 고사리, 곰취, 참취 등 산나물 채취 시기이기도 해서 순수한 등산객은 물론 꽃 찾아다니는 사람, 나물 하러 다니는 사람 등 적지 않은 이들이 해발 923m에 불과한 명성산을 바삐 오갑니다. “여기 좀 보세요. 이파리가 넓고, 밥풀 같은 게 다닥다닥 붙어 있는데 이게 뭔가요?” 초보 나물꾼 한 분이 인솔자에게 소리쳐 묻습니다. 키 작은 잡목들 사이 무심히 밟고 지나갈 수밖에 없는, 그늘진 평편한 풀밭에 그야말로 이파리가 넓고 무성한 풀이 쫙 깔렸으니 궁금하기도 하고, 무심코 밟은 게 미안해 물어봤으리라 짐작이 됩니다. 하지만 꽃대마다 알알이 달린 꽃은 막 벌어지기 직전이어서 아쉽게도 그 향기를 실감할 수는 없었을 겁니다.

5월에 피는 야생화가 한둘이 아님에도, 어떤 연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오월화’란 별칭으로 불리는 꽃이 바로 은방울꽃입니다. 아마도 은방울을 똑 빼닮은 앙증맞은 꽃의 생김새뿐 아니라, 순백의 꽃 색, 그리고 가까이 다가갈수록 황홀경에 빠져들게 하는 진한 꽃향기 등의 3박자가 은방울꽃을 계절의 여왕 5월을 대표하는 꽃으로 만들지 않았을까 짐작해봅니다.

종 또는 방울 모양의 순백의 자잘한 꽃송이가 매력적인 은방울꽃. 살랑 봄바람이라도 불면 은쟁반에 옥구슬이 구르듯 경쾌한 종소리가 울려 퍼질 듯하다. ©김인철
©김인철

아니, 꽃이 깔려 있다기보다는 그 풍성하고 잘생긴 잎이 깔려 있다는 게 맞을 것이다. 밥풀만 한 크기의 작은 종이 조롱조롱 맺힌 것 같은 흰 꽃은 잎 사이에 수줍게 고개를 숙이고 있었지만 앙큼하도록 농밀한 꿀샘을 가지고 있었다.

은방울꽃은 전국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데, ‘계곡의 백합(lily of the valley)’이라는 영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배수가 잘 되는 산골짜기에서 잘 자랍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는 시구(詩句)처럼, 은방울꽃의 진가를 알기 위해선 자세히 살피고 오래 관찰해야 합니다. 특히 넓고 긴 초록색 이파리가 무엇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탓에, 꽃을 알아차리고 감상하기 위해선 몸을 낮추고 눈을 맞춰야 합니다. 그래야 채 1cm도 안 되는 작은 은방울꽃이 눈에 들어오고, 그리고 꽃줄기마다 10개 안팎씩 달린 ‘방울꽃’에서 울려 퍼지는 잔잔한 종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양편으로 시원하게 뻗은 이파리 사이 꽃대마다 10송이 안팎의 꽃송이를 앙증맞게 매달고 선 은방울꽃. 작지만 온 숲을 제압할 듯 당당한 모습이 ‘오월화’로 꼽힌 이유를 말해주는 듯하다. ©김인철

그뿐 아니라, 가까이 다가서야만 서늘하면서도 달콤한 비현실적인 꽃향기를 맡고, 고급 향수의 재료로도 쓰인다는 은방울꽃의 매력을 제대로 실감할 수 있습니다. 은방울꽃은 ‘화냥년속고쟁이가랑이꽃’이니 ‘바람난며느리속고쟁이’와 같은 발칙하면서도 기발한 옛 이름을 갖고 있는데, 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날렵하면서도 윤기가 흐르는 진초록 이파리 두 장이 꽃대 양편에 길게 마주 선 모습이 마치 여인이 속고쟁이를 입은 채 가랑이를 벌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6개로 갈라진 꽃잎 끝 부분이 살짝 보랏빛으로 물든 은방울꽃. 최근 강원도 홍천의 한 야산에서 이른바 ‘분홍 은방울꽃’으로 불리는 변종이 발견돼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김인철
©김인철

실제 은방울꽃은 키가 20~35cm에 불과하지만, 이파리는 길이 12~18cm, 폭 3~7cm로 넓고 풍성한 느낌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반면 순백의 꽃은 6~8mm로 매우 작으며, 고개를 숙인 채 땅만 바라보고 있는데, 여기에 비를 피해 종을 이어가려는 절실한 본능이 숨겨져 있다고 합니다. 즉 종족 보존과 직결되는 꽃가루와 꿀을 보호하는 ‘우산 역할’을 하기 위해 꽃잎이 땅을 보고 동그란 원형을 그리고 있다는 설명이지요.

발밑에 쫙 깔린 은방울꽃 무더기. 전국의 산골짜기와 그늘진 산기슭에서 잘 자란다. 무성한 이파리 사이에 올망졸망 달린 ‘방울꽃’은 몸을 낮춰야 종소리와 향을 느낄 수 있다. ©김인철
©김인철

진한 향이 난다고 해서 향수란(香水蘭), 방울처럼 생긴 난초라고 해서 영란(鈴蘭)으로도 불리는 은방울꽃은 ‘행복’이란 꽃말 때문인지 최근 유명 연예인들이 결혼식 부케 꽃다발로 사용해 유명세를 타기도 했습니다. 고 박완서 선생이 성장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한 묘사가 그 어느 식물도감보다도 실감나기에 다시 인용, 소개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5.15>

Posted by atom77
,

‘신탐매(新探梅) 1번지’, 광양 매화마을

 춘삼월 섬진강변에 매화 꽃구름 피어오르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3.16>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학명은 Prunus mume Siebold & Zucc. for. mum

[논객닷컴=김인철] 예로부터 문인화의 소재로 사랑받은 사군자(四君子). 그중에서도 가장 앞에 위치하며 ‘지조의 상징’으로 추앙받아온 매화. 옛 선비들은 겨울과 봄 사이 눈 속에서 꽃을 피우는 매화를 찾아 길을 나섰습니다. 이를 이른바 심매(尋梅), 또는 탐매(探梅)라 하지요. 그리고 눈 속에 핀 매화, 즉 설중매(雪中梅)를 묵화로 그리고, ‘매화는 일생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고 칭송하며 그 자신 아무리 곤궁하더라도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버리지 않겠노라 다짐했습니다.

저 멀리 앞산에 해가 떠오르자 섬진강변에 가득 찬 매화 꽃밭이 한겨울 흰 눈에 뒤덮인 듯 하얀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해마다 3월이면 광양과 하동 일대 섬진강변에 희고 붉은 매화 꽃물결이 일렁여 가만 바라만 보아도 꽃 멀미가 날 정도다. ⓒ김인철
ⓒ김인철

경남 양산 통도사의 370년 된 홍매(紅梅)인 자장매(慈藏梅)를 필두로, 수령 600년을 넘었다는 순천 선암사의 선암매(仙巖梅), 장성 백양사의 고불매(古佛梅), 구례 화엄사의 흑매(黑梅) 등이 옛 선비들이 즐겨 찾았던 고매(古梅)입니다. 선암매와 고불매 등과 함께 ‘호남 5매’로 꼽히는 담양 계당매(溪堂梅)와 전남대 대명매(大明梅), 고흥 수양매(水楊梅), 그리고 김해의 와룡백매(臥龍白梅), 강릉 오죽헌의 율곡매(栗谷梅), 산청의 남명매(南冥梅) 등 전국에 산재한, 수령 100년을 넘은 200여 그루의 오래된 매화나무가 각기 애호가들의 발길을 붙잡았습니다. 대개 유서 깊은 고택이나 오래된 사찰에 뿌리내린 이들 고매는 전통 가옥의 예스러운 정취와 어우러져 오늘날에도 고아한 멋을 풍기고 있습니다.

수령 370년이 넘었다는 통도사 자장매. 동지섣달 눈 속에서 핀다고 해서 설중매라고도 불리는 홍매인데, 혹한 탓인지 올해는 2월 24일 현재 가지 끝에 겨우 몇 송이 분홍색 꽃잎을 여는 데 그쳤다. ⓒ김인철
ⓒ김인철

그런데 최근에는 고매 한두 그루에서 묻어나는 수백 년 묵은 청향(淸香)을 쫓아 유유자적 유랑하던 탐매에 더해, 수만 그루의 매화나무가 만들어내는 ‘스펙터클한 장관’을 즐기는 ‘신탐매(新探梅) 여행’이 인기입니다. 열매인 매실 수확 등을 목적으로 심은 수만 그루의 매실나무가 연륜이 쌓이면서 봄마다 농원 일대가 거대한 매화꽃동산이 되고, 이를 즐기려 수만, 수십만 인파가 운집하는 매화 축제가 열리는 것이지요. 전남 광양과 경남 양산의 매화 축제가 대표적입니다.

전남 광양 매화마을과 더불어 해마다 3월 대규모 매화 축제가 열리는 경남 양산의 원동 매화마을. 낙동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무릉도원 같은 매화 꽃밭 사이로 기차가 지나가는 멋진 장면을 포착할 수 있어 인기다. ⓒ김인철
ⓒ김인철

특히 전남 광양과 하동 일대 30만여㎡에 심어진 10만여 그루의 매실나무에 희고 붉은 매화꽃이 피면 물비늘 반짝이는 섬진강을 따라 거대한 꽃구름이 뭉실뭉실 피어나는 장관이 펼쳐집니다. 동틀 무렵 광양 매화 축제의 중심인 다압면 도사리 청매실농원 매화 동산에 올라, 서서히 어둠이 걷히면서 섬진강과 나란히 흐르는 거대한 매화꽃의 장강(長江)이 반짝반짝 빛을 발하는 광경을 바라보면 “아~ 별유천지 비인간(別有天地 非人間)이 바로 예로구나.”라는 탄성을 내뱉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섬진강 시인’은 봄날 섬진강변 매화의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을 이렇게 노래했지요.

나 찾다가
텃밭에
흙 묻은 호미만 있거든
예쁜 여자랑 손잡고
섬진강 봄물을 따라
매화꽃 보러 간 줄 알그라 (김용택의 시 ‘봄날’)

붉다 못해 검붉어 흑매라고도 불리는 구례 화엄사의 홍매화. 수령 300년이 넘었으니 탐매에 나선 옛 선비들이 빠뜨리지 않고 찾았을 고매(古梅)임이 분명하다. ⓒ김인철
ⓒ김인철

광양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경남 양산의 원동 매화마을 또한 봄바람에 휘날린 매화 꽃잎이 물비늘 반짝이며 흐르는 낙동강에 곱게 내려앉아 저 멀리 흘러가는 정경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입니다. 낙동강이 한눈에 내다보이는 이곳은 무릉도원 같은 매화 꽃밭 사이로 기차가 지나가는 멋진 순간을 포착할 수 있어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습니다. 발길 닿는 곳마다, 눈길 가는 곳마다 희고 붉은 매화가 지천으로 피어나는 춘삼월, 절정의 봄이 강물 위에 떠 있는 매화 꽃잎과 함께 흘러가고 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3.16>

Posted by atom77
,

‘들꽃여행 1번지’, 제주

수선화·백서향 향(香) 봄 재촉하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2.14>

수십 년 만의 강추위로 전국이 꽁꽁 얼어붙었단 말이 빈말이 아닌 듯 싶습니다. 2월 중순, 예년 같으면 여기저기서 복수초가 황금색 꽃을 피웠느니, 매화가 꽃망울을 터뜨렸느니 요란을 떨 시기이건만 올해는 아직 잠잠합니다. 입춘(立春)이 지났지만 봄은 아직 멀리 있는 듯합니다.

제주도도 예외는 아니어서 기록적인 폭설과 강추위로 항공기 운항이 일시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는 소식이 들려오지만, 동시에 ‘따듯한 남쪽 나라 제주도’란 명성답게 뭍보다는 두어 발 빠른 화신(花信)을 전해오고 있습니다. 이미 작년 12월 겨울의 문턱에서부터 피기 시작해 제주의 겨울을 붉게 수놓는 동백과 여기저기서 밭떼기로 피어 관광객들을 유혹하는 유채, 그리고 매화와 갯국, 광대나물, 개별꽃, 큰개불알풀 등등.

그중 겨울에 피어나 그윽한 향을 풍기며 “따듯한 남쪽 나라 제주도에 꽃향기가 가득하니 어서 와서 함께 즐기시라”며 손을 내미는 제주만의 특별한 야생화가 있습니다. 바로 수선화와 백서향입니다. 이 둘은 새해 ‘들꽃여행 1번지’로 제주를 찾는 게 절대 후회하지 않을 선택임을 확인시켜줍니다.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해변에 핀 수선화. 왼쪽에는 산방산이, 가운데 멀리로는 눈 덮인 한라산이, 오른쪽에는 용머리 해변과 짙푸른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명당에 뿌리내렸다.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김인철

이미 160여 년 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정월 그믐에서 2월 초 피기 시작한 수선화는 3월이 되면 산과 들, 밭두둑에 흰 구름이 깔린 듯, 흰 눈이 장대하게 쌓인 듯”하다며 “마을마다 동네마다 한 치, 한 자쯤의 땅에도 수선화가 없는 곳이 없다. (제주의) 수선화는 과연 천하의 큰 구경거리”라고 격찬한 바 있습니다.

추사가 사랑한 제주 몰마농꽃. 꽃대 하나에 꽃이 여러 송이 달리고, 속 꽃잎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게 금잔옥대라 불리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수선화와 형태가 크게 다르다. ©김인철

제주 전역에서 피는데, 특히 추사가 8년 3개월 동안 유배 생활을 했던 서귀포시 대정 들녘에서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자생지가 특별히 따로 있는 게 아니고, 자동차가 오가는 도로변은 물론 밭둑이나 돌담 아래, 바닷가 언덕 등지에 흔히 자랍니다.

추사가 유배 생활을 했던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한 도로변에 잡초처럼 피어난 수선화. 추사가 이 수선화를 보며 작으나마 마음의 위안을 찾았다고 한다. ©김인철

제주도에 피는 수선화는 두 종입니다. 하나는 꽃이 크고(몰) 속 꽃잎이 마늘(마농) 뿌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제주 토속어로 ‘몰마농꽃’이라고 불리는 수선화입니다. 또 다른 수선화는 흰색 꽃받침 위에 황금색 부화관(副花冠)이 동그랗게 자리한 게 마치 흰 쟁반(옥대)에 금잔이 앉은 것 같다고 해서 금잔옥대(金盞玉臺)라 불리는 것입니다. 황금색 부화관은 물론 꽃받침 잎까지 온통 노란색인 원예종 수선화도 종종 눈에 띕니다. 추사는 “화품(花品)이 대단히 커서 한 가지가 많게는 10여 송이에 화피 갈래 조각이 8~9개에 이른다”는 설명과 함께 노란색 부화관과 속 꽃잎이 여럿으로 갈라지는 그림을 남겨 당시 제주도에 자생하던 수선화가 몰마농꽃이었음을 분명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순백의 겨울꽃’ 백서향. 그윽한 향기가 “봄이여 어서 오라.”고 재촉하는 듯하다. 팥꽃나무과의 상록 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Daphne kiusiana Miq. ©김인철

민가 주변에 피는 수선화와 달리 백서향(白瑞香)은 제주만의 독특한 지형인 곶자왈에서 자랍니다. 숲과 자갈을 뜻하는 제주 토속어 ‘곶’과 ‘자왈’이 합쳐진 곶자왈은 용암이 분출하면서 만들어진 요철(凹凸) 지형으로, 남방계 식물과 북방계 식물, 콩짜개덩굴 등 양치류 등이 공존하는 원시림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중 백서향은 1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해 제주의 봄을 재촉하는 꽃으로, 제주의 봄은 곶자왈에 번지는 그윽한 백서향의 향기로부터 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김인철

꽃은 키 1m 안팎의 늘 푸른 활엽 관목 가지 끝에 다닥다닥 달리는데, 애초 자주색 꽃이 피고 상서로운 향기가 난다는 중국 원산의 서향(瑞香)에 비해 흰색 꽃이 핀다고 해서 백서향이란 이름을 얻었습니다. 백서향은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 그리고 일본에도 자생하는데 최근 제주에서 자라는 백서향은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이란 별도의 종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제주백서향은 꽃받침통과 열편(꽃잎이 펼쳐진 부분)에 털이 없고 긴 타원형 잎을 가지며 제주도의 중산간 지역에서 자생하는 반면, 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있고 도피침형 잎을 가지며 남해 해안에서 자란다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는 것이지요. 2013년 우리나라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이 주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면 제주백서향은 제주도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 됩니다.

백서향이 한겨울 꽃송이를 가득 달고 곶자왈 숲에 서 있다. 꽃은 3월까지 긴 기간 피어 진한 향기가 곶자왈 숲에 가득 번진다. ©김인철

하나의 가지 끝에 수십 송이씩 달리는 제주백서향은 보통 1월 중순 한두 송이 피기 시작해 만개하기까지 한 달 넘게 소요됩니다. 이 때문에 백서향이 자생하는 제주 곶자왈은 2월에서 3월까지 긴 기간 찾는 이의 오감을 행복하게 하는 힐링의 숲이 되고 있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18.02.14>

Posted by atom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