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면초니, 해홍나물이니 하는 염생식물들이 빨갛게 익어가는 가을
어느 새벽
서울서 가까운 서해 섬
갯바위 위에 섰더니
새벽 여명이
동해 일출에 못지않은 강렬한 모습으로 나타나 사위를 압도합니다.
칠면초니, 해홍나물이니 하는 염생식물들이 빨갛게 익어가는 가을
어느 새벽
서울서 가까운 서해 섬
갯바위 위에 섰더니
새벽 여명이
동해 일출에 못지않은 강렬한 모습으로 나타나 사위를 압도합니다.
지리바꽃.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의 여러해살이풀.
같은 산 같은 계곡에서 같은 시기에 피는 투구꽃과 다른 듯 비슷하고 ,
같은 듯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애기물꽈리아재비.
현삼과 물꽈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산기슭 습지에 자라며, 7~8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황색 꽃이 달린다.
25cm 높이까지 자라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5개의 좁은 날개가 있다.
물꽈리아재비에 비해 꽃자루가 짧고 꽃받침도 작아 '애기'란 접두어가 붙었다.>
국생종에 나오는 대략적인 설명입니다.
돌외.
박과 돌외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일전 산외를 올리면서
고기잡이 그물처럼 무성한 덩굴을 만났다며 무더기 군락을 치켜세웠더니,
이웃사촌 같은 돌외가 그 정도 규모에 호들갑을 떠느냐는 듯
야트막한 산길 한쪽 사면을 온통 뒤덮고 있는 모습으로 눈앞에 나타납니다.
게다가
왕과가 그랬고,
금강초롱꽃이 그러했듯,
이번엔 돌외가 교통표지판 옆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교통표지판이 교통 상황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주변 식생도 유심히 살피라는 뜻의 신호판'이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임진강 건너 길가에서 우연히 만났는데,
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란다는 돌외가 언제부터 이곳에 뿌리내렸는지 신기합니다.
홍도까치수염.
앵초과 까치수염속 여러해살이풀.
홍도에서 처음 발견되어서 <홍도>란 이름 얻었고,
홍도 및 전남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내륙의 여러 곳에서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경기도에서도 몇 군데서 군락을 이뤄 자라고 있는데,
당초 자생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공사 차량 등에 의한 전이 등 이런저런 연유로
번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짙은 녹음의 여름이 끝나가고
붉게 물드는 가을이 시작되기 전,
바로 직전 지나간 태풍이 모든 티를 말끔히 씻어낸 듯 더없이 맑은 설악의 얼굴을 내어줍니다.
순간
저 멀리 공룡을 언제까지 바라만 보고 있을 것인지 한탄합니다.
백두산과 일산을 하나로 잇는, 왕별꽃!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20-09-09>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고 하던가요. 해마다 여름이면 백두산으로 ‘우리 꽃’을 찾아 나섰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각종 식물도감에 등장하는 어엿한 우리나라 야생화지만, 못 만난 지 어언 70년을 훌쩍 넘었으니 자칫 잊히지 십상이지요. 그러기에 갈 수 없는 북녘 땅을 대신해 백두산에라도 가서 남한에서는 자라지 않는 우리의 북방계 식물들을 만나 그 이름을 불러주고 머릿속에 기억해두자고 늘 다짐했습니다.
![]() ![]() |
고양시 일산에서 2020년 8월 만난 왕별꽃. 백두산 일대 습지에 피는 왕별꽃이 남한 일산에서 자란다는 사실은 남과 북이 하나의 자연생태계를 공유하는 공동체임을 새삼 일러줍니다.@김인철 |
그 백두산 가는 길이 올해는 코로나 19 때문에 막혔습니다. 5월 말에야 눈이 녹고 9월이면 새로 눈이 내리기에 6월에서 8월까지 단 3개월 동안 수백 종의 북방계 고산식물이 한꺼번에 피는 백두산. 그곳 야생화 탐방이 무산돼 낙담하던 차에 가뭄에 단비 같은 낭보가 전해졌습니다. 백두산에나 가야 만날 수 있는 북방계 야생화가 서울에서 가까운 일산에 자생한다는 소식이었습니다.
![]() ![]() |
크기도 크고 형태도 시원시원한 왕별꽃. 별꽃 · 쇠별꽃 · 실별꽃 등 다른 11종의 별꽃 속 식물을 제치고 왜 ‘왕(王)’ 자가 붙었는지를 말해준다. @김인철 |
단번에 전국의 야생화 동호인들이 몰려 일산이 시쳇말로 올여름 ‘핫 플레이스(Hot Place)’가 되었습니다. 한반도 북방계 식물의 보고인 백두산(白頭山)과 경기도 고양 일산(一山)을 하나로 이어준 야생화는 바로 왕별꽃입니다. 국가 공인 식물도감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분포 : 백두산 지역 등 북부의 산지에서 자란다.”라고 설명하고 있듯 전형적인 북방계 식물로서, 이번에 확인된 일산 이외 남한 지역 어디에서도 발견되었다고 알려진 바 없습니다.
![]() ![]() |
2018년 8월 백두산 일대 습지에서 만난 왕별꽃. 2020년 일산에서 만개한 왕별꽃과 똑 닮았다. 백두산에서 자라는 다른 고산 식물들이 6월에서 8월 사이 한꺼번에 꽃을 피우듯 왕별꽃도 같은 시기 내내 개화했다. @김인철 |
큰산별꽃이란 별칭으로도 불리는데, 이름대로 별꽃 가운데 키는 물론 전초나 꽃도 가장 크고 시원시원합니다. 먼저 줄기는 밑 부분에서는 비스듬히 자라다가 위로 갈수록 곧추서 50㎝에서 어른 허리 높이인 80㎝까지 크는데, 주변에서 흔히 보는 별꽃이나 쇠별꽃에 비해 거구라 할 수 있습니다. 꽃은 7월부터 시작해 9월까지 흰색으로 핍니다. 먼저 꽃대 끝에 한 개가 피고 다시 그 주위의 가지 끝에 꽃이 피고, 다시 가지가 갈라져 그 끝에 꽃이 또 핍니다. 이른바 취산꽃차례인데 하나의 꽃줄기에 제법 여러 개의 꽃이 달립니다. 낱낱의 꽃 또한 형태나 크기가 유별납니다. 먼저 꽃잎은 모두 5장이데, 낱장은 다시 끝이 5~12개로 갈라져 마치 수십 개의 톱니바퀴가 둥글게 돌아가는 듯합니다. 꽃잎의 길이는 8~10㎜로 별꽃이나 쇠별꽃에 비해 2배 이상 깁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머리는 별꽃과 마찬가지로 3갈래로 갈라집니다.
![]() ![]() |
마치 개망초가 무성하게 자라듯 군락을 이뤄 꽃을 피운 일산의 왕별꽃. 백두산 일대 자생지보다도 더 왕성한 생육 상태를 보여준다. @김인철 |
왕별꽃이 자라는 곳은 고양시 일산의 한류천 산책로 길섶. 당초 발원지가 있는 하천이 아니라, 밀물과 썰물에 따라 한강 물이 들고 나는 물골이었다가 자유로가 생기고 일산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배수로가 됐고 수문을 통해 한강과 다시 만나게 된 하천변 단 한 곳에서만 자생지가 발견되었습니다. 동호인들에 따르면 왕별꽃이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해부터이니, 이곳에서 오래전부터 자랐다기보다 최근 수년 사이 새로 뿌리를 내렸다고 보는 게 타당해 보입니다. 여러 종류의 조류가 철 따라 찾아오는 한강 변이다 보니 북쪽에서 날아온 새들이 날개나 몸 등에 묻혀 왔거나, 먹이로 삼킨 씨를 이곳에서 배설해 싹이 난 게 아닐까 추정됩니다. 한강 하류이다 보니 임진강을 따라 북한에서 떠내려 온 씨앗이 한류천으로 역류해 들어왔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논객닷컴 ( h t t p: / / w w w . n o ‘n g a e k. c o m ) 2020-09-09>
돌외.
박과 돌외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란다.
꽃은 8-9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원뿔모양꽃차례 또는 총상 원뿔모양꽃차례로서 길이가 8-15cm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에 나오는 설명입니다.
앞서 소개한 산외와 여러모로 비슷한데,
산외는 열매가 열리는 양성꽃은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달리고, 수꽃은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비해,
돌외는 암꽃과 수꽃 모두 원뿔모양꽃차례, 또는 총상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립니다.
특히 돌외는 차의 원료로 쓰인다고 국생종에서 나오는데,
손바닥처럼 펴지는 작은 잎 5장이 반들반들 윤기나 도는 걸 보면
"아, 맞다. 차로 덖으면 딱 맞겠네."라는 느낌이 단번에 전해집니다.
울릉도와 남쪽 섬에 자란다는 돌외가 반갑게 가까운 경기도에 자생하고 있어
지난해에 이어 또 만났습니다.